분류 전체보기21 불가지론자가 읽는 '천로역정' - 존 버니언(John Bunyan) 불가지론자가 읽는 '천로역정' - 존 버니언(John Bunyan) 불가지론(不可知論) 이란? 필자는 자신에 종교적 입지를 설명할 때, 이 '불가지론' 이라는 그늘에 숨는 버릇이 있다. 불가지론은 사후의 '신적' '초월적'인 것들은 인식이 불가능하다는 철학적인 입장이다. 때문에 필자는 조물주와 사후세계에 대해서 쓴 책들이 완전히 부질없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실제로 성경을 비롯해 가톨릭 서적들을 탐독하는 것을 좋아하고, 불교의 사상에도 관심이 있다. 때문에 성경 다음으로 기독교적으로 훌륭한 책으로 인정받는 이 '천로역정'을 마냥 비판의 시각으로 보려고는 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세상과 내세관을 충분히 존중하고 이해하는 것이 이 '천로역정'을 읽는 까닭이다. 비록 그들의 말대로 라면 필자는 최후의 심판 .. 2021. 6. 11. '이상 소설 전집'으로 살펴본 '이상(李箱)'의 작품세계 (完) '이상 소설 전집'으로 살펴본 '이상(李箱)'의 작품세계 (完) '단발(斷髮)'로 살펴본 이상의 작품세계 이상 작품하면 떠오르는 건 네러티브(서사)의 누락이다. 아주 평범한 사건을 다루고 있는 한편, 이에 가중된 (때로는 형이상학적이기 까지한)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그런 의미가 가장 많이 부각된 작품이 바로 이 '단발'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사고를 중심으로 서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줄거리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다만 한 소녀가 자신의 애인으로부터 이반(離叛)당하고 머리를 자른 것이 이 이야기의 전부이다. 다만 짚어야 하는 부분도 있다. 다음은 이상은 염세주의로 인한 자살과 남녀동반자살 사이서 고뇌하는 장면이다. 그는 결코 고독 가운데서 제법 하수(下手)(자살을 의미)할 수 있는 진짜 염.. 2021. 6. 8. '이상 소설 전집'으로 살펴본 '이상(李箱)'의 작품세계 (下) '이상 소설 전집'으로 살펴본 '이상(李箱)'의 작품세계 (下) '종생기(終生記)'로 살펴본 이상의 작품세계 '종생기(終生記)'는 '삶을 끝내는 것에 관한 기록'이라는 뜻의 제목이다. 시작 첫머리부터 이상은 당나라 시인 최국보 '소년행(少年行)'의 첫 문장 '유극산호편(遺䧍珊瑚鞭)'을 인용한다. 극유산호(䧍遺珊瑚) - 요 다섯 자 동안에 나는 두 자 이상의 오자를 범했는가 싶다. (이상 소설 전집 P160) 최국보의 시인 소년행의 전문은 이렇다. 遺䧍珊瑚鞭 = 산호 채찍을 잃고 나니 白馬驕不行 = 백마가 교만해져 가지 않는다. 章臺折楊柳 = '장대(지명)'에서 버들 가지를 꺾으니(여인을 희롱하니) 春日路傍情 = 봄날 길가의 정경이여 귀한 산호채찍을 버려가며 버드나무 가지로 대신 쓴다는 내용과 더불어 여인.. 2021. 6. 6. 파편화된 가족을 그린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파편화된 가족을 그린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그레고르 잠자'의 '변신'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그레고르 잠자는 직공이다. 어느 날 자고 일어나니 자신의 몸 상태가 기이하게 변하였음을 느끼지만, 개의치 않고 다시 잠을 청한다. 하지만 그가 출근을 해야하는 6시 반이 되면서 문제는 시작된다. 그는 몸을 일으켜서 문밖으로 나서려고 하지만 완전히 '해충'처럼 변해버린 몸 탓에 그 마저도 실패한다. 아버지와 직장상사까지 그의 방 문전에서 '무슨 일이냐'고 묻지만 그는 몸 상태가 좋지 않다는 말로만 일관한다. 그러던 중 잠자가 탈출을 하려다 그 안에서 잠자의 모습을 본 그의 어머니가 기절하게 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결국 그나마 잠자를 돌보던 누이 '그레테'는 폭팔하게 된다. 후에 잠자가 죽고나서 그의 사체를 처.. 2021. 6. 4. 이전 1 2 3 4 ··· 6 다음